thumbnail-도선사(서울)-0
thumbnail-도선사(서울)-1
thumbnail-도선사(서울)-2
thumbnail-도선사(서울)-3
thumbnail-도선사(서울)-4
thumbnail-도선사(서울)-5
thumbnail-도선사(서울)-6
thumbnail-도선사(서울)-7
thumbnail-도선사(서울)-8
thumbnail-도선사(서울)-9
thumbnail-도선사(서울)-10
thumbnail-도선사(서울)-11
thumbnail-도선사(서울)-12
thumbnail-도선사(서울)-13
thumbnail-도선사(서울)-14
thumbnail-도선사(서울)-15
thumbnail-도선사(서울)-16
thumbnail-도선사(서울)-17
thumbnail-도선사(서울)-18
thumbnail-도선사(서울)-19
thumbnail-도선사(서울)-20

소개

우이동 서쪽에서 북한산의 최고봉인 백운대를 향하여 계곡을 따라 약 1㎞쯤 올라가면 일주석에 ‘삼일수심천재보(三日修心千載寶) 백년탐 물일조진(百年貪物一朝塵)’이라고 쓰여진 산문(山門)을 맞게 된다.
사적기에 의하면 도선사는 862년(경문왕 2)에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도선국사는 이곳의 산세가 1,000년 뒤의 말법시대(末法時代)에 불법을 다시 일으킬 곳이라고 예견하고 절을 창건한 뒤 큰 암석을 주장자로 갈라 마애관음보살상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그 뒤 조선후기까지의 중건·중수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북한산성을 쌓을 때는 승병들이 이 절에서 방번(보초 임무)을 서기도 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1863년(철종 14) 김좌근의 시주로 중수하고 칠성각을 신축하였고, 1887년(고종 24)에는 임준이 오층탑을 건립하였으며, 탑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호국참회원, 명부전, 삼성각, 적묵당, 천왕문, 범종각, 종무소, 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이 봉안되어 있고, 법당의 내부 벽에는 달마(達磨)와 혜능(慧能), 청담(靑潭)의 영정이 그려져 있으며, 후불탱화, 팔상도(八相圖), 극락구품도(極樂九品圖) 등이 있다.
현재 도선사에는 마애불입상(제34호), 목조 아미타불 및 대세지보살상(제191호), 석조독성상(제192호), 청동종 및 일괄유물(제259호) 등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을 비롯해 19세 말 조성된 지장시왕도, 괘불도, 묘법연화경, 대방광불화엄경소 등의 성보문화재가 다수 있다.

🗺 위치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선사길 278 (우이동)

✏ 상세 정보

등산로

북한산 도선사 코스
도선사 - 백운대 - 백운대탐방지원센터

화장실

있음

입 장 료

무료

외국어 안내서비스

불가

🔎 이용 안내

문의 및 안내
02-993-3161
주차 시설
가능
쉬는 날
연중무휴
이용 시간
09:00~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