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사(충주)
📍 충청북도 충주시 사직산12길 55 (지현동)
소개
충주는 중원이라는 말처럼 한반도 중심에 자리한 역사ㆍ문화ㆍ교통의 요지로서, 삼국시대 접경지는 물론 수많은 애환을 가진 역사의 도시로 유명한 곳이다. 특히 이곳 중원은 예부터 철의 고장으로서 수많은 불상들이 철불로 조성되었으며, 전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충주는 철불의 보금자리로 알려져 있으며, 충주를 찾는 이들은 어김없이 이들 철불을 친견하기를 원한다. 그 중 도심 한복판에서 충주시가지를 내려다보는 철불이 하나 있다. 이 불상은 용산이라는 충주의 명산에 자리한 대원사 철불로 일명 광불(狂佛)로 불리는 전설속의 불상이다. 철불은 전설 속 여진이란 노승의 모습으로, 찢어진 두 눈ㆍ험악한 인상 등에서 다소 생소한 부처의 모습을 느낄 수 있으나, 이상적인 체구에 사실적인 표현은 노승의 모습을 닮은 친근한 모습이다.
대원사는 이곳에 철불을 봉안하며 창건된 도심 사찰로 충주 시가지 내 포교사찰로 알려진 곳이다. 절이 항상 산사에 있어야 제맛이지만, 일부러 절을 찾기도 하고 팍팍한 산행의 과정없이 쉽게 만날 수 있는 절 역시 현재 우리가 원하는 사찰의 모습일 것이다. 도심 한복판에서 만날 수 있는 대원사는 이런 현재 우리들의 요구를 반영한 도심속 포교소로서 철불의 보금자리일뿐 아니라 충주시민들의 상담소로서 또는 정신적인 위안처로서 충주시민들의 타는 듯한 인생의 못마름을 덜어낼 수 있는 쉼터로서 제구실을 하고 있다. 언제나 친견할 수 있는 철불, 쉽게 찾을 수 있는 사찰에서 우린 고개를 뻣뻣이 드는 것도 숙이는 것도 조심스러운 세상에, 법당 마루에 무릎을 끊고 머리를 조아리며, 가식의 옷을 벗어 던진 나를 만나기도 한다. 그렇게 온화한 미소는 아니지만 인간의 모습을 가진 철불을 향해 안으로 나를 참구해도 그만이고 남을 위해 기도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조성당시에도 그랬듯이 현재에도 무뚝뚝한 철불의 입가에 미소가 떠오르기를 기도해 본다.
* 대원사의 창건 경위와 역사 *
대원사 경내에 있는 ‘우암승현선사지비(愚岩勝鉉禪師之碑)’라 음각된 비석 뒷면에 1929년 9월에 김추월(金秋月) 선사( 禪師)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1929년 이후 포교당으로 운영되다가 충주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로 성장하였다. 1994년 화재로 대웅전 일부와 충주 철불좌상을 봉안했던 보호각이 소실되었으나 1998년 극락전을 새로 지어 충주 철불좌상을 안치하였다. 1994년 화재 이후 당시 주지였던 현덕에 의해 주불인 아미타불과 관음보살, 지장보살 및 후불탱화가 조성되었으며, 대원 어린이집도 당시 개원되었다. 이후 보호각 없이 대웅전 앞에 방치된 충주철불좌상의 봉안을 위해 1998년 승려 법광이 극락전을 건립하고 후불탱화를 조성하였다.
[충주 철조여래좌상] 보물 (1963년 01월 21일 지정)
철로 만든 불상으로 단호사 철불좌상과 같은 양식이지만 엄격미가 강조된 점이 특징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얼굴, 길고 넓은 눈, 꽉 다문 입가로 내려오는 팔자형의 주름이 근엄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좌우대칭을 지키면서 기하학적 옷주름 선을 규칙적으로 표현하였다.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 초기에 걸쳐 유행하던 철로 만들어진 불상 가운데 하나이다. 도식화된 표현으로 볼 때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원사는 이곳에 철불을 봉안하며 창건된 도심 사찰로 충주 시가지 내 포교사찰로 알려진 곳이다. 절이 항상 산사에 있어야 제맛이지만, 일부러 절을 찾기도 하고 팍팍한 산행의 과정없이 쉽게 만날 수 있는 절 역시 현재 우리가 원하는 사찰의 모습일 것이다. 도심 한복판에서 만날 수 있는 대원사는 이런 현재 우리들의 요구를 반영한 도심속 포교소로서 철불의 보금자리일뿐 아니라 충주시민들의 상담소로서 또는 정신적인 위안처로서 충주시민들의 타는 듯한 인생의 못마름을 덜어낼 수 있는 쉼터로서 제구실을 하고 있다. 언제나 친견할 수 있는 철불, 쉽게 찾을 수 있는 사찰에서 우린 고개를 뻣뻣이 드는 것도 숙이는 것도 조심스러운 세상에, 법당 마루에 무릎을 끊고 머리를 조아리며, 가식의 옷을 벗어 던진 나를 만나기도 한다. 그렇게 온화한 미소는 아니지만 인간의 모습을 가진 철불을 향해 안으로 나를 참구해도 그만이고 남을 위해 기도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조성당시에도 그랬듯이 현재에도 무뚝뚝한 철불의 입가에 미소가 떠오르기를 기도해 본다.
* 대원사의 창건 경위와 역사 *
대원사 경내에 있는 ‘우암승현선사지비(愚岩勝鉉禪師之碑)’라 음각된 비석 뒷면에 1929년 9월에 김추월(金秋月) 선사( 禪師)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1929년 이후 포교당으로 운영되다가 충주 지역의 대표적인 사찰로 성장하였다. 1994년 화재로 대웅전 일부와 충주 철불좌상을 봉안했던 보호각이 소실되었으나 1998년 극락전을 새로 지어 충주 철불좌상을 안치하였다. 1994년 화재 이후 당시 주지였던 현덕에 의해 주불인 아미타불과 관음보살, 지장보살 및 후불탱화가 조성되었으며, 대원 어린이집도 당시 개원되었다. 이후 보호각 없이 대웅전 앞에 방치된 충주철불좌상의 봉안을 위해 1998년 승려 법광이 극락전을 건립하고 후불탱화를 조성하였다.
[충주 철조여래좌상] 보물 (1963년 01월 21일 지정)
철로 만든 불상으로 단호사 철불좌상과 같은 양식이지만 엄격미가 강조된 점이 특징이다. 삼각형에 가까운 얼굴, 길고 넓은 눈, 꽉 다문 입가로 내려오는 팔자형의 주름이 근엄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좌우대칭을 지키면서 기하학적 옷주름 선을 규칙적으로 표현하였다.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 초기에 걸쳐 유행하던 철로 만들어진 불상 가운데 하나이다. 도식화된 표현으로 볼 때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사직산12길 55 (지현동)
🔎 이용 안내
문의 및 안내
043-847-4059
유모차 대여 여부
불가
신용카드 가능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없음
쉬는 날
연중무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