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0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2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3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4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5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6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7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8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9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0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1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2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3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4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5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6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7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8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19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20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21
thumbnail-성주 세종대왕자 태실-22

소개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이다. 태는 태아의 생명력으로 여겨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왕실에서는 전국의 명당에 태 항아리를 안치시켰는데 그 중에서도 성주의 세종대왕자태실은 규모나 가치면에서 으뜸이며 지금은 생명문화의 상징으로 알려지고 있다. 월항면 인촌리 선석산[禪石山, 742.4m] 아래의 태봉[胎峰] 정상에 소재하는 세종대왕자태실에는 세종대왕의 적서[嫡庶] 19왕자 중 큰 아들인 문종[文宗]을 제외한 18왕자의 태실과 원손[元孫]인 단종[端宗]의 태실 등 모두 19기가 있으며, 이곳은 세종 20년(1438)에서 24년(1442) 사이에 조성되었다. 전체 19기중 14기는 조성당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나 세조의 왕위찬탈에 반대한 다섯 왕자의 태실의 경우 방형의 연엽대석[蓮葉臺石]을 제외한 석물이 파괴되어 남아 있지 않으며, 세조 태실은 즉위한 이후 특별히 귀부를 마련하여 가봉비[加封碑]를 태실비 앞에 세워두었다.

(출처 : 성주군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 위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39-18

✏ 상세 정보

입 장 료

무료

이용가능시설

태교원, 연꽃원 삼산할매길, 잔디원, 사랑지, 혼례원, 사랑광장, 생명문화전시관, 언약원, 만남광장 등

화장실

있음

🔎 이용 안내

문의 및 안내
054-930-6782
주차 시설
가능
유모차 대여 여부
없음
체험 가능 연령
전 연령
쉬는 날
연중무휴
이용 시간
상시 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