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39-18
소개
조선조 세종대왕 왕자들의 태실로서 전열은 11기, 후열은 8기로 되어있다. 태실 앞에는 각각 왕자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는데, 대부분 세종 20년(1438)에서부터 세종 24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는 비석이 닳아 판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으며, 판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평원대군, 영응대군, 의창군 등의 태실비이다. 그러나 1977년 12월, 이곳을 보수, 정비하면서 금성대군, 화의군, 단종 등의 태실로 추정되는 자리에서 토기, 태호, 분청인화문 대접, 분청상감 연화문 뚜껑 1식과, 명기가 있는 지석2점 등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 경주박물관, 경북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한편 가까이엔 이곳 태실을 수호하는 사찰이었던 선석사가 있다.
* 태실과 지석의 구조에 대하여 *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을 말한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고 인정하여 태아가 출산된 뒤에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민간에서는 땅에 묻는 경우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 출산 후 마당을 깨끗이 한 뒤 왕겨에 태를 묻어 몽긋몽긋하에 태운 뒤에 재를 강물에 띄워 보내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왕족의 경우에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여겨 태를 항아리에 담아 전국의 명당에 안치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이때 이를 주관하는 관상감에서 길지로 선정된 명산에 일정한 의식과 절차를 밟아 묻었는데, 이 의식과 절차를 거쳐 완성한 시설을 태실이라 불렀다. 또한 태봉은 태실 가운데 그 태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할 경우에 격에 맞는 석물을 갖추고 가봉비를 세운 것으로 임금의 태실을 말한다. 19기의 태실은 화강암으로 깎은 조선태실 의궤(儀軌) 형식으로 지하에 석실을 만들고 그 안에 백자로 된 태호(胎壺)를 넣는 형태이다. 태호 속에는 태항(胎缸)과 태주(胎主)의 이름 및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誌石)을 두었다. 지상에는 기단, 간석, 옥개의 형식을 갖춘 석조물을 안치하는 한편 각왕자의 태실을 가리키는 표석을 세웠다. 태실의 옥개 높이는 25㎝, 지름 1.6m, 둘레 3.2m이며 신석은 높이 60㎝, 지름 1.2m, 둘레 2.4m이다. 기단은 높이 45㎝, 지름 2.2m, 둘레 8.8m이고 태비의 높이는 90㎝, 너비는 35㎝이다.
* 태실 수호사찰 선석사 *
- 신라 효소왕 1년(692)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 조선초기 세종대왕 수호사찰
- 소장 문화재 : 성주선석사영산회괘불탱(보물) / 선석사대웅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태장전 : 현대인의 아기 태를 봉안하는 시설이 있으며, 태 봉안인의 무병/장수를 기도하는 도량
[문화재 정보]
* 조성연대 : 1438년(세종 20)~1442(세종 24)
* 재질 : 화강암
* 크기 : 면적 5,950㎡
* 태실수 : 19기
- 세종대왕의 적서 18왕자 중 장자 문종을 제외한 17왕자 태실 18기
- 세종대왕의 손자 단종이 태어났을 떄 조성한 태실 1기
※ 단종의 태실은 세자로 책봉된 후 성주 법림산에 새롭게 이전 조성함
* 문화재적 가치
- 태실이 군집을 이룬 전국 최대의 태실 문화유산
- 조선초기 태실문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문화유산
- 태실 조성방식의 시대적 변천을 확인 할 수 있는 최고의 문화유산
* 태실과 지석의 구조에 대하여 *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을 말한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고 인정하여 태아가 출산된 뒤에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민간에서는 땅에 묻는 경우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 출산 후 마당을 깨끗이 한 뒤 왕겨에 태를 묻어 몽긋몽긋하에 태운 뒤에 재를 강물에 띄워 보내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왕족의 경우에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여겨 태를 항아리에 담아 전국의 명당에 안치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이때 이를 주관하는 관상감에서 길지로 선정된 명산에 일정한 의식과 절차를 밟아 묻었는데, 이 의식과 절차를 거쳐 완성한 시설을 태실이라 불렀다. 또한 태봉은 태실 가운데 그 태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할 경우에 격에 맞는 석물을 갖추고 가봉비를 세운 것으로 임금의 태실을 말한다. 19기의 태실은 화강암으로 깎은 조선태실 의궤(儀軌) 형식으로 지하에 석실을 만들고 그 안에 백자로 된 태호(胎壺)를 넣는 형태이다. 태호 속에는 태항(胎缸)과 태주(胎主)의 이름 및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誌石)을 두었다. 지상에는 기단, 간석, 옥개의 형식을 갖춘 석조물을 안치하는 한편 각왕자의 태실을 가리키는 표석을 세웠다. 태실의 옥개 높이는 25㎝, 지름 1.6m, 둘레 3.2m이며 신석은 높이 60㎝, 지름 1.2m, 둘레 2.4m이다. 기단은 높이 45㎝, 지름 2.2m, 둘레 8.8m이고 태비의 높이는 90㎝, 너비는 35㎝이다.
* 태실 수호사찰 선석사 *
- 신라 효소왕 1년(692)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 조선초기 세종대왕 수호사찰
- 소장 문화재 : 성주선석사영산회괘불탱(보물) / 선석사대웅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태장전 : 현대인의 아기 태를 봉안하는 시설이 있으며, 태 봉안인의 무병/장수를 기도하는 도량
[문화재 정보]
* 조성연대 : 1438년(세종 20)~1442(세종 24)
* 재질 : 화강암
* 크기 : 면적 5,950㎡
* 태실수 : 19기
- 세종대왕의 적서 18왕자 중 장자 문종을 제외한 17왕자 태실 18기
- 세종대왕의 손자 단종이 태어났을 떄 조성한 태실 1기
※ 단종의 태실은 세자로 책봉된 후 성주 법림산에 새롭게 이전 조성함
* 문화재적 가치
- 태실이 군집을 이룬 전국 최대의 태실 문화유산
- 조선초기 태실문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문화유산
- 태실 조성방식의 시대적 변천을 확인 할 수 있는 최고의 문화유산
홈페이지
🗺 위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세종대왕자태실로 639-18
✏ 상세 정보
이용가능시설
태교원, 연꽃원 삼산할매길, 잔디원, 사랑지, 혼례원, 사랑광장, 생명문화전시관, 언약원, 만남광장 등
화장실
있음
🔎 이용 안내
문의 및 안내
성주군 문화예술과 054-930-6782
주차 시설
주차가능
유모차 대여 여부
없음
신용카드 가능 여부
없음
애완동물 가능 여부
불가
체험 가능 연령
전연령
쉬는 날
연중개방
이용 시간
00:00~24:00